설 연휴가 언제있었냐는 듯... 시간이 벌써 4주차..ㅋㅋㅋ
이번주차에는 Chapter 5 의 함수 파트에 대해 학습한다.
일단 과제부터!!
p.202 <윤년을 확인하는 함수 만들기> 예제를 실행, 2022년이 윤년인지 확인하기!
<!DOCTYPE html>
<html>
<head>
<title></title>
<script>
function isLeapYear(year) {
return (year % 4 === 0) && (year % 100 !== 0) || (year % 400 === 0)
}
console.log(`2020년은 윤년일까? === ${isLeapYear(2020)}`)
console.log(`2010년은 윤년일까? === ${isLeapYear(2010)}`)
console.log(`2000년은 윤년일까? === ${isLeapYear(2000)}`)
console.log(`1900년은 윤년일까? === ${isLeapYear(1900)}`)
console.log(`2022년은 윤년일까?? === ${isLeapYear(2022)}`)
</script>
</head>
<body></body>
</html>
코드 사이에 console 부분이 띄워져있는데 윗 부분은 책에 있는 코드들이다.
밑에 있는 것이 이번 과제인 2022년의 윤년 여부를 확인하는 함수 코드다.
먼저 중요한 이야기는 아니지만 짧게나마 윤년이 뭐냐면
보통 2월은 28일까지 있지만 29일이 있는 경우도 있다.
이를 leap year , 윤년이라고 한다.
4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가 윤년인 경우이지만 100으로 나눠 떨어지는 경우는 제외한다.
하지만 400으로 나눠 떨어지는 경우는 또 포함이 된다.
코드에 대해 더 설명해보자.
<script>
function isLeapYear(year) {
return (year % 4 === 0) && (year % 100 !== 0) || (year % 400 === 0)
}
</script>
여기서 function { ~ } 에서의 ~ 부분은
return (year % 4 === 0) && (year % 100 !== 0) || (year % 400 === 0)
앞서 말한 윤년의 경우를 수식으로 만들면 위의 리턴값과 동일해진다.
추가적으로
function 다음은 함수(매개변수) 가 들어오면서 해당 형태를 유지하면서 코드를 작성해야한다.
함수는 isLeapYear
매개변수는 year
위의 전체 코드를 콘솔 창에서 확인하면
해당 결과가 나오고 문제에서 제시한 2022년의 윤년 여부는 false 가 출력됨을 알 수 있다.
이로써 4주차 과제도 끝!
'혼공학습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공스] 혼자 공부하는 자바스크립트 3주차 - 혼공학습단 13기 (1) | 2025.01.28 |
---|---|
[혼공스] 혼자 공부하는 자바스크립트 2주차 - 혼공학습단 13기 (1) | 2025.01.18 |
[혼공스] 혼자 공부하는 자바스크립트 1주차 - 혼공학습단 13기 (0) | 2025.01.12 |